United States’ Anger toward North Korea Climbs; South Korea Needs To Prepare Well for the Summit

<--

북한에 억류됐다가 의식불명 상태로 풀려난 미국 대학생 오토 웜비어가 19일(현지시간) 결국 숨을 거뒀다. 미국과 북한 간의 오랜 교섭 끝에 13일 고향인 오하이오주(州) 신시내티로 돌아온 지 6일 만이다. 웜비어의 사망 소식으로 미국 내 대북 여론은 급속도로 나빠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웜비어 사망 직후 공식성명에서 “북한에 의한 희생자를 애도하며 미국은 다시 한번 북한 정권의 잔혹성을 규탄한다”고 말했다. 존 매케인 상원 군사위원장도 “미국 시민인 웜비어는 김정은 정권이 살해한 것”이라고 규정한 뒤 “미국은 적대 정권에 의한 자국 시민 살해를 용인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했다. 야당인 민주당뿐 아니라 시민단체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에서도 북한을 규탄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문재인 대통령도 이날 조전(弔電)을 보내 유족을 위로했으며 여야 모두 북의 반인권적 행태를 질타했다.

웜비어의 사망은 불과 8일 앞으로 다가온 한미 정상회담에 악재로 작용할 것으로 전망된다. 가뜩이나 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사드) 배치에 대한 우리 정부의 방침과 관련해 미국 조야에서 부정적인 기류가 형성된 가운데 여러 악재가 동시다발적으로 터져 나오면서 한미 정상회담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미국 정계의 주요 인사들에 대한 우리 정부의 홀대 논란부터 북한의 핵·미사일을 축소하면 한반도 전략자산과 한미 연합군사훈련을 축소할 수 있다는 문정인 청와대 통일외교안보특보의 발언 등으로 대북 공조에 한미 간 ‘엇박자’ 우려까지 제기되는 상황이다.

이번 한미 정상회담에서는 문재인 정부 5년간의 양국 관계, 특히 대북공조에 대한 기본 틀이 형성된다. 북한과의 ‘대화’에 방점을 두고 있는 우리 정부와 웜비어 사망으로 북한에 대한 비판 여론이 들끓는 미국이 절충지점을 찾기가 현재로서는 쉽지 않아 보인다. 청와대는 남은 기간만이라도 한미 정상회담 의제에 대해 더욱 정교하고 치밀하게 준비해 안보 불안을 해소하는 데 집중하기 바란다.

About this pub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