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Birds Are ‘Freed’ and Leaving Musk’s Twitter

<--

“새가 풀려났다.”(일론 머스크)

“머스크의 트위터 인수는 미국뿐만 아니라 세계 민주주의에 지정학적 재앙이 될 것이다.”

2006년 140자의 단문 포스팅을 앞세워 본격적인 소셜미디어 시대를 열어젖힌 트위터가 절체절명의 기로에 섰다. 트위터는 ‘공통의 관심사’를 기반으로 친목과 정보 유통, 여론형성의 장으로 미국은 물론 한국에서도 급성장했다. 트위터의 상징인 ‘파랑새’가 물어 나르는 140자의 메시지는 2010년 ‘아랍의 봄’부터 현재 진행 중인 ‘이란 히잡 시위’까지 기성 언론의 직무 유기를 비집고 민주주의와 사회적 약자의 버팀목으로 폭발적인 영향력을 발휘해왔다.

하지만 트위터를 소통 창구로 애용해왔던 세계의 오피니언 리더와 인플루언서, 이용자들이 하나둘 트위터를 떠나 대체 SNS를 찾는 등 ‘온라인 망명’에 나서고 있다. 트위터의 주 수입원이었던 대기업들도 속속 광고를 끊고 이탈 행렬에 가세하고 있다. 세계 최고 부자이면서 천재적 혁신가로, ‘관종’으로 다양한 평가를 받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지난달 27일 440억 달러(62조 원)에 트위터를 인수한 지 한 달 새 벌어진 일이다.

머스크는 인수 당일 트위터 주요 임원 4명을 잘랐고, 하루 뒤 직원의 절반에게 날벼락 같은 해고 통보를 날리는 것으로 머스크 시대 트위터의 출범을 알렸다. 또 지난해 1월 지지자들의 미국 연방의사당 난입 사태 당시 폭력을 조장하고, 부정선거 음모론에 편승해 대선 불복을 공공연히 종용했다는 이유로 트위터 계정 영구 정지 조치를 당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계정을 복구시켰다. 트럼프는 “제 정신인 사람이 트위터를 소유해 기쁘다”며 화답했다.

이 같은 조치는 머스크의 ‘언론관’에서 기인한다. 트위터는 그동안 가짜 뉴스와 혐오 게시물을 삭제하고 관련 계정을 차단하는 등 자사 플랫폼에서 유해 콘텐츠를 제거하기 위해 대규모 인력을 고용하고, 시스템 정비에 상당한 비용을 투입해왔다. 이 같은 운영 방식에 대해 머스크는 트위터가 ‘정치적 올바름’에 빠져 이용자들의 입에 재갈을 물린다며 일찍부터 불만을 표출해왔다.

머스크는 만년 적자의 늪에 빠진 트위터를 인수한 이유에 대해 표현의 자유와 언론의 자유를 내세우고 있다. 그는 “자유언론은 민주주의 작동의 기반이 되는 바위다. 트위터는 인류의 미래에 중요한 문제들이 토론되는 디지털 광장”이라며 ‘자유언론 절대주의’의 신봉자임을 자처했다. 콘텐츠에 대한 개입을 최소화해 궁극적으로‘검열 프리 지대’로 나아가겠다는 구상으로 읽힌다.

잘못된 주장이나 혐오성 표현이라도 금기를 두지 않고 자유롭게 말하게 내버려 두면 ‘식견 있는 시민들’이 공론의 장에서 활발한 토론을 통해 옥석을 가려내게 마련이고, 그것이 언론 자유를 기반으로 한 민주주의의 요체라는 것이다.

하지만 일견 이상적으로 보이는 머스크의 언론관은 트위터를 소용돌이로 몰아넣고 있다. 머스크가 추진하는 표현의 자유 아래 트위터에 가짜뉴스와 선동적 메시지가 넘칠 것이라는 ‘머스크 리스크’가 부각되면서, 이용자들은 물론 브랜드 이미지 악화를 우려한 광고업계 큰 손들도 트위터와 절연하고 있다. 실제 머스크의 트위터 인수 소식이 전해진 지난달 27일 전후를 비교했을 때 트위터 내 인종차별적 게시물은 13배, 가짜뉴스 게시물은 29배 늘어났다는 실증적 분석도 나왔다.

이에 머스크는 수익성 강화를 위해 유료 서비스 ‘트위터블루’를 도입하는 한편, “전 세계 트위터 사용량이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우고 있다”는 내용의 게시글을 연일 올리며 자신의 원칙을 고수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머스크가 겉으로는 표현의 자유를 내세우지만, 실상은 트위터를 장악해 인플루언서이자 ‘언론사주’로서 정치적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구심도 나온다.

자동차 시장의 판도를 바꾼 머스크의 ‘트위터 실험’이 갖은 진통과 우려를 뚫고 기존 소셜미디어 체제에 일대 혁신을 가져 올 수도 있다. 하지만 머스크가 표방한 자유언론 절대주의는 책임 없는 방종으로 이어질 공산이 크고, 제약 없는 ‘무규칙 소통의 장’은 파랑새들이 지저귀던 동산을 맹금류의 사냥터로 전락시킬 우려가 커 보인다. 머스크가 트위터를 망가뜨리는 것은 물론, 민주주의의 공적이 될 것이라는 비판이 미국을 넘어 전세계 오피니언 리더들로부터 쏟아지는 이유다.

유사 언론은 물론 일부 기성 언론까지 특정 정치 성향에 매몰돼 무책임한 음모론과 반대 진영에 대한 무조건적 공격을 쏟아내고 있는 오늘날 우리 현실에서도 한번쯤 곱씹어봐야 할 대목이다.

About this pub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