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Future of Korean–American Alliance

Published in Herald Business
(South Korea) on 5 September 2011
by Bok Geo-il (link to originallink to original)
Translated from by Seung W. Yang. Edited by Louis Standish.
The financial crisis in the U.S. makes further military expansion infeasible. The stout opposition to the Jeju naval base may breed mistrust between allies.

It is rare to find an instance that illustrates the crisis of our society as clearly as the unlawful resistance by civilians to the construction of the Jeju Island naval base. Typically, a national defense matter such as the construction of a military base is not where citizens should get involved. On this matter, we reiterate the weakness of our current administration; it is conspicuously pushed around by pro-North Korea influences and its own inability to construct the base.

One concern is that in response to the opposition’s claim that the Jeju naval base is being constructed for the U.S. Navy, the government and the navy shamefully affirmed that the base is not for the U.S. Navy. Such an explanation breaks down the Korea–U.S. alliance. Our ally, the U.S. military, cannot use our bases freely? By announcing in advance that the base will not be used by the America, how do you handle the repercussions?

The U.S. won a hard-fought war and freed us from Japanese imperialism. The U.S. also saved us during the Korean War and continues to protect us. We still rely on U.S. military command because its military assistance is so crucial. The government and the navy’s attempt to please the pro-North Korea faction by asserting that the new naval base is not for use by the U.S. Navy shames us incredibly.

The basis of an alliance is trust, and it requires a huge responsibility. How can we ask the U.S. to protect us from North Korea’s attacks while we take its trust in us lightly and are reluctant to take responsibility? Will the U.S. willingly risk its soldiers’ lives to help such an ally?

These questions cannot be taken lightly as it directly relates to the U.S. military’s presence in the Korean Peninsula. Last year, the U.S. had more expenditures then revenues. The trade and financial deficits are becoming bigger burdens. “National decline” has become the main topic in the American society due to the underlying concern about deficits.

One of the easiest strategies to reduce the financial deficit is to pull back the U.S. military’s presence overseas. There are quite a few congressmen who already advocate for reducing the U.S’s military expenditure, which is relatively high compared to its economy. The U.S. deployed its military throughout the world during the Cold War but has not since engaged in a drawing down overseas. As Paul Kennedy asserted, military overstretch brings the fall of superpowers. The U.S. will have to gradually reduce its military presence overseas.

If that is the case, there is a good possibility that the United States may withdraw their forces from Korea first. As Secretary of State Dean Acheson said when the Korean War was about to break out, the U.S. did not consider Korea as a strategically important county. The U.S. has always believed that protecting Japan will ensure the U.S.’s influence in the Western Pacific. The case is the same today. Previous [small-scale] withdrawals of the United States forces in Korea have reduced the U.S.’s influence [in the region] substantially.

If the U.S. withdraws from Korea militarily, the threat facing us would be immeasurable. We must devote our attention to broadening our relationship with the U.S. Announcing that the naval base, which has not even been built yet, will not be used by the U.S. military is not the road to earning America’s trust and goodwill.


재정위기 겪는 미국
더이상의 군사확장 힘들어
제주 해군기지 결사반대
동맹국 불신 초래할수도

제주도 해군기지가 반대하는 시민들의 불법적 저항에 막혀 나아가지 못한다는 사실만큼 우리 사회의 위기를 잘 보여주는 일도 드물다. 일반적으로 군사기지의 건설과 같은 국방업무는 일반 시민들이 간여할 일이 아니다. 드러내놓고 북한을 따르는 세력에 밀려 기지를 건설하지 못한다는 사실에서 우리는 현 정권의 본질적 문제를 새삼 확인한다.

정부와 해군의 민망스러운 대응에서 특히 마음에 걸리는 것은 제주도 해군기지가 미국 해군을 위해서 건설된다는 반대파의 주장에 대해 정부와 해군이 그렇지 않다고 해명한 것이다. 이런 해명은 한미동맹을 허무는 짓이다. 동맹국인 미국의 군대가 우리 군사기지들을 자유롭게 쓰지 못한다니, 무슨 소리인가? 미리 미국 해군이 쓰지 못한다고 선언하면, 여러 부작용은 어떻게 감당할 것인가?

미국이 힘든 전쟁 끝에 일본을 이겨서 우리는 일본의 지배에서 벗어났다. 6ㆍ25 전쟁에서 우리를 구해주고 줄곧 지켜준 것도 미국이었다. 미국의 군사적 도움이 워낙 절실하므로, 지금도 우리는 전시에 미군 사령관에게 작전을 맡기고 있다. 그런 상황에서 새로 짓는 해군기지를 미군은 쓰지 못한다고 미리 못을 박아서 북한을 따르는 세력을 달래려는 정부와 해군의 행태는 우리를 한없이 부끄럽게 만든다.

동맹은 신뢰가 바탕이며 큰 책임이 따른다. 미국의 신뢰를 잃을 짓을 가볍게 하고 책임을 지려 하지 않으면서, 어떻게 북한의 공격을 무릅쓰고 우리를 지켜달라고 미국에 부탁할 수 있겠는가? 그런 동맹국을 위해 미국이 병사들의 목숨을 내걸고 선뜻 도와주겠는가?

이것은 결코 한가로운 얘기가 아니다. 미군의 한반도 주둔과 직접적 관련이 있는 사안이다. 근년에 미국은 수입보다 지출이 많았다. 그래서 무역적자와 재정적자가 점점 큰 짐이 되어 왔다. 지금 ‘국가적 쇠퇴(national decline)’가 미국 사회의 중심적 화두가 된 것도 근본적으로 그런 짐에 대한 걱정 때문이다.

재정적자를 줄이는 방안들 가운데 비교적 쉬운 것은 해외에 주둔한 미군의 감축이다. 이미 그렇게 하자고 주장하는 국회의원들이 적지 않다. 실제로 지금 미국의 군비는 미국의 국력에 비겨 많은 편이다. 냉전은 미국이 온 세계에 군사력을 투사하 도록 만들었고, 소련의 붕괴로 냉전이 끝난 뒤에도 미국은 군사력을 줄이지 않았다. 폴 케네디가 지적한 대로, 과도한 군사적 확장(overstretch)은 강대국의 쇠퇴를 부른다. 따라서 미국은 차츰 해외의 군사력을 줄일 수밖에 없다.

그럴 경우 한국에 주둔한 미군이 먼저 철수할 가능성이 높다. 6ㆍ25 전쟁 직전의 딘 애치슨 국무장관의 발언에서 드러난 것처럼, 미국은 한국을 전략적으로 중요한 국가로 여기지 않았다. 일본만 지키면 미국의 영향력을 서태평양에 투사하는 데 큰 문제가 없다고 보아왔다. 지금도 마찬가지다. 그동안 주한미군은 많이 철수해서 실질적인 억지력은 많이 줄어들었다.

미군이 한국에서 철수할 경우, 우리가 맞을 위험은 이내 가늠하기 어려울 만큼 크다. 당연히, 우리는 미국과의 관계를 가깝게 하는 데 마음을 써야 한다. 짓지도 않은 해군기지를 미군이 쓰지 않는다고 미리 선언하는 것은 미국의 신뢰와 호의를 얻는 길이 아니다.
This post appeared on the front page as a direct link to the original article with the above link .

Hot this week

Germany: When Push Comes to Shove, Europe Stands Alone*

Russia: Trump the Multipolarist*

Germany: It’s Not Europe’s Fault

Turkey: Blood and Fury: Killing of Charlie Kirk, Escalating US Political Violence

El Salvador: The Game of Chess between the US and Venezuela Continues

Topics

Spain: Charlie Kirk and the Awful People Celebrating His Death

Germany: Trump Declares War on Cities

Japan: US Signing of Japan Tariffs: Reject Self-Righteousness and Fulfill Agreement

Russia: Trump the Multipolarist*

Turkey: Blood and Fury: Killing of Charlie Kirk, Escalating US Political Violence

Thailand: Brazil and the US: Same Crime, Different Fate

Singapore: The Assassination of Charlie Kirk Leaves America at a Turning Point

Germany: When Push Comes to Shove, Europe Stands Alone*

Related Articles

India: Trump’s Tariffs Have Hit South Korea and Japan: India Has Been Wise in Charting a Cautious Path

Hong Kong: China, Japan, South Korea Pave Way for Summit Talks; Liu Teng-Chung: Responding to Trump

South Korea: Where Is the War in Ukraine Heading?

Zimbabwe: China Is the True Power in Putin and Kim’s Budding Friendship

South Korea: Explore Nuclear Op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