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merica’s “Obama Style” All-In Asian Policy

Published in Chosun Ilbo
(South Korea) on 22 November 2011
by In-sun Kang (link to originallink to original)
Translated from by Seung Yang. Edited by Steven Stenzler.
At the East Asia Summit (EAS) in Bali, Indonesia, U.S. President Obama said, “in the Asia-Pacific in the 21st century,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is all in.” Obama, who was born in Hawaii, spent his youth in Jakarta with his mother, who remarried an Indonesian student. A few years ago, I visited the house where Obama had lived, where the locals recalled “a lively boy playing in the streets.” Obama’s recent announcement may seem unexpected, but this all-in policy in the Asia-Pacific region makes sense for Obama, who grew up in Hawaii and Indonesia.

Since Obama became president, most of his work in foreign policy has been to finish the job former President Bush led after the 9/11 terrorist attacks. The wars in Afghanistan and Iraq, not to mention the “war on terror,” were Bush policies. The capture and killing of al-Qaida leader Osama bin Laden was Obama’s final touch on the work started by Bush.

Bush left a deep imprint on policies related to the war on terror; and no matter how hard he tried, Obama found it difficult to erase the impression of the “Bush legacy.” By the end of the year, the withdrawal of American forces from Iraq will be complete. American forces in Afghanistan will withdraw by 2014. The unwanted foreign policy legacy inherited from the former president will then virtually come to an end. Obama can breathe a sigh of relief for his reelection; now he has the chance to pursue an “Obama foreign policy” as part of his reelection strategy.

Obama’s targets are Asia and China. America’s destiny will be either cooperation or confrontation with China. China and Asia will be the most influential regions in America’s future, and it was inevitable that these regions would become the centerpiece of Obama’s foreign policy. U.S. experts see Obama’s decision as a turning point for America’s foreign policy.

However, the U.S. returning to Asia is not the U.S. of the past. In the past, the U.S.’ economic and security role was to provide public goods to Asian countries, including South Korea. It opened up its huge market for economic reasons and built a fence to support its allies for security reasons. Now, China has mostly replaced the U.S. in the Asia-Pacific region from an economic standpoint. Even just a few years ago, the U.S. was South Korea’s largest trading partner, but China has taken that role from the U.S.

The U.S. is still the world’s largest economy, but U.S. GDP as a percentage of total world GDP fell from 23 percent in 1999 to 20 percent in 2009. On the other hand, China’s GDP as a proportion of the world total increased from 7 percent to 13 percent. The U.S. is currently being crushed by government debt that is spiraling out of control, and its credit rating has been downgraded by the international credit rating agency Standard & Poor’s. Furthermore, Congress can’t solve any problems. International political scientists have observed that the U.S. is suffering from all the symptoms consistent with those experienced by past empires that disappeared into history.

At a glance, Obama’s all-in Asian policy seems harmless for South Korea. However, Asian countries are perplexed; they are all well aware that they will not be able to avoid becoming involved in a U.S.-China showdown. South Korea, in particular, will likely fall into the most complicated situation. It will face difficult choices, big and small: between the U.S., which has been a close ally for decades, and China, which is geographically close and it is intricately tied to economically. South Korea’s foreign policy will face a whole new level of challenges ahead.


오바마가 취임 후 해온 외교안보 분야의 일은 대부분 9•11 테러 이후 부시 전 대통령이 주도했던 일을 마무리하는 것이었다. 아프가니스탄전과 이라크전은 말할 것도 없고 테러와의 전쟁도 '부시표'였다. 오바마 행정부가 최대 외교안보 성과로 내세우는 알카에다 지도자 오사마 빈 라덴 사살도 사실은 부시가 시작한 일을 오바마가 최종 정리한 것이다.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지난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린 동아시아정상회의(EAS)에서 "21세기에 미국은 아시아에 '올인'할 것"이라고 했다. 하와이에서 태어난 오바마는 인도네시아 유학생과 재혼했던 어머니를 따라가 어린 시절을 자카르타에서 보냈다. 몇년 전 오바마가 살던 집에 가보니 동네 사람들은 '골목길에서 뛰놀던 활달한 그 소년'을 기억하고 있었다. 이번 발표 시점은 다소 느닷없어 보이지만, 하와이와 인도네시아에서 성장한 오바마에게 아시아•태평양 올인은 잘 어울리는 외교정책이다.

대(對)테러전과 관련된 일은 부시의 지문이 너무 강하게 남아 있어서 오바마가 아무리 노력해도 '부시의 유산'이란 인상을 지우기 어려웠다. 올해 말이면 이라크 주둔 미군 철수가 완료되고 아프가니스탄 주둔 미군도 2014년까지 철수한다. 전임 대통령에게서 물려받은 원치 않았던 외교정책 유산 처리가 사실상 마무리되는 셈이다. 오바마가 한숨 돌리고 재선(再選) 성공을 위한 전략이자 재선 이후 추진할 정책 틀로 '오바마표 외교'를 추진할 수 있는 여유가 생긴 것이다.

그가 선택한 것은 아시아와 중국이다. 중국과의 대결 또는 협력은 이제 미국의 숙명이다. 미국의 장래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칠 중국과 아시아가 오바마 외교정책의 중심이 된 것은 당연한 일이다. 미국 전문가들은 이 결정을 외교정책 방향의 대전환이라고 평가한다.

하 지만 아시아로 다시 돌아온 미국은 예전의 미국이 아니다. 과거 미국은 한국을 포함한 아시아 국가들에게 경제와 안보 공공재를 공급하는 역할을 했다. 경제를 위해 미국이란 큰 시장을 열고 안보를 위해 동맹국을 지원하는 큰 울타리를 만들었다. 이젠 경제적 측면에선 이 지역에서 중국이 상당 부분 미국의 역할을 대신하고 있다. 한국만 해도 불과 몇년 전까지는 미국이 최대교역국이었지만 이제는 중국으로 바뀌었다.

미국은 여전히 세계 최대 경제대국이지만 미국 국내총생산(GDP)이 전 세계 GDP에서 차지하는 비율은 1999년 23%에서 2009년 20%로 떨어졌다. 반면 같은 시기 중국 GDP가 차지하는 비율은 7%에서 13%로 증가했다. 미국은 국제신용평가사인 스탠더드 앤 푸어스에 의해 신용등급을 강등당하고,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늘어나는 정부 부채에 짓눌리고 있다. 게다가 의회는 어떤 문제도 해결하지 못한다. 국제정치학자들은 미국이 보여주는 모든 징후가 역사 속에서 사라져간 제국(帝國)이 쇠퇴하던 시기에 나타났던 그것과 일치한다고 진단한다.

오바마표 아시아 올인 외교는 일견 한국에 나쁠 게 없어 보인다. 하지만 미국의 공세에 아시아 국가들은 당황하고 있다. 미•중 대결구도를 피할 수 없다는 것을 잘 알기 때문이다. 특히 한국은 가장 복잡한 상황에 빠질 가능성이 크다. 한국을 위해 피 흘려 싸워준 수십년 동맹국과 지리적으로 가깝고 경제적으로 밀접한 중국 사이에서 크고 작은 어려운 선택에 직면할 것이기 때문이다. 앞으로 한국 외교는 지금까지와는 차원이 다른 어려운 도전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This post appeared on the front page as a direct link to the original article with the above link .

Hot this week

Poland: Marek Kutarba: Donald Trump Makes Promises to Karol Nawrocki. But Did He Run Them by Putin?

Spain: Trump, Xi and the Art of Immortality

Guatemala: Fanaticism and Intolerance

Austria: Donald Is Disappointed in Vladimir

Singapore: The Assassination of Charlie Kirk Leaves America at a Turning Point

Topics

Turkey: Blood and Fury: Killing of Charlie Kirk, Escalating US Political Violence

Thailand: Brazil and the US: Same Crime, Different Fate

Singapore: The Assassination of Charlie Kirk Leaves America at a Turning Point

Germany: When Push Comes to Shove, Europe Stands Alone*

Guatemala: Fanaticism and Intolerance

Venezuela: China: Authoritarianism Unites, Democracy Divides

Israel: Antisemitism and Anti-Israel Bias: Congress Opens Investigation into Wikipedia

Spain: Trump, Xi and the Art of Immortality

Related Articles

India: Trump’s Tariffs Have Hit South Korea and Japan: India Has Been Wise in Charting a Cautious Path

Hong Kong: China, Japan, South Korea Pave Way for Summit Talks; Liu Teng-Chung: Responding to Trump

South Korea: Where Is the War in Ukraine Heading?

Zimbabwe: China Is the True Power in Putin and Kim’s Budding Friendship

South Korea: Explore Nuclear Op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