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recent and complicated social issue that has arisen is the “fake news” controversy. Donald Trump’s habit of attacking CNN by calling it fake news is very shocking. While the debate about fake news has been around for a while, in South Korea, such discussions have only been around for the past two or three years. Recently, with politicians expressing concerns over fake news and the government stating it will regulate it, talks on whether regulating fake news is appropriate have been occurring more frequently.
In the fake news seminars that have taken place in the past few years, almost all of the speakers and panelists have said that it isn’t appropriate to regulate fake news. The main reason for this is that it is hard to decide what exactly can be defined as fake news. Also, fake news is not only too broad, but it is also difficult to differentiate from false information. Fake news is generally defined as news that is misleading or fake, but Trump’s fake news depends heavily on his interpretation of the information. Basically, if the news is disadvantageous to him, Trump interprets it as fake news no matter what the truth is.
This had led to the so-called Post-Truth Era, where if the news content matches a someone's opinion, he or she tends to believe that it’s true. The bigger problem is that even when the information is revealed to be false after being fact checked and verified, people tend to have a “if it’s not true, oh well” attitude instead of apologizing and understanding that their information may be false.
Fake news is now considered to be a social cost or illness that a person must suffer live in this complicated media age. If fake news can’t eliminated or its purveyors punished, then people need the wisdom to minimize its costs. It is now necessary to suspect news that in the past would easily have been accepted as true. If the news is revealed to be false, then one must become an informed citizen who is constantly interested in the truth.
최근 복잡한 사회적 문제로 떠오른 것이 가짜뉴스(fake news) 논란이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CNN을 공격하면서 가짜뉴스라고 외치는 장면은 매우 충격적이다. 가짜뉴스에 대한 사회적 논의는 꽤 오래전부터 있었으나 우리나라에서는 지난 2~3년에 걸쳐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최근 정치권에서 가짜뉴스에 대한 우려를 표시하고 정부 측에서 이를 규제하겠다고 선언하면서 가짜뉴스 규제가 타당한가에 대한 논의가 가속화하고 있다.
지난 몇 년간 열린 가짜뉴스 세미나에서 거의 모든 발제자나 토론자들이 가짜뉴스를 법으로 규제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입을 모은다. 무엇보다 가짜뉴스가 무엇인지 정의 내리기 어렵다는 이유가 있다. 또 가짜뉴스는 그 범위가 너무 넓을 뿐만 아니라 허위 정보와 어떻게 구분되는지 명확하지 않다. 일반적으로 가짜뉴스라 함은 뉴스 형식을 띤 잘못되거나 허위인 정보라고 알고 있지만 트럼프 대통령이 바라보는 가짜뉴스란 사실에 대한 해석상 의미가 강하다. 즉 해석이 자신에게 불리하면 사실의 진위와 상관없이 가짜라고 판단한다.
이러한 현상을 이른바 `포스트 트루스 시대(Post Truth Era)`라고 지칭하는데, 뉴스 내용이 자신의 생각과 일치하면 그것을 진실이라고 믿고자 하는 경향이 발생하게 된다. 더욱 큰 문제는 나중에 이것이 팩트체크(fact-check) 등 검증을 거쳐 진실이 아니라고 밝혀지는 경우에도 진실이 정말 무엇인가에 대해 관심을 보이거나 자신의 생각이 잘못될 수 있다고 자성하는 모습보다 `아니면 말고` 식 태도를 취한다는 점이다.
가짜뉴스는 이제 복잡한 미디어 시대를 살아가는 데 치러야 할 사회적 비용 또는 끌어안고 가야 할 고질병 같은 것이라고 판단된다. 이를 다 몰아내거나 처벌할 수 없다면 비용이나 고통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하는 지혜가 요구된다. 예전에는 당연히 받아들이던 뉴스에 대해 늘 합리적 의심을 던지고, 진실이 아니라고 드러나면 정말 진실은 무엇일까에 대한 관심을 계속 보이는 `식견 있는 시민(informed citizen)`의 자세가 요구된다.
This post appeared on the front page as a direct link to the original article with the above lin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