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esterday the Korean government could not provide a good enough reason to make its citizens understand; therefore the government announced an important decision, anyway: the Korean Cabinet decided that 350 troops would be designated to rebuild and rehabilitate local residences and regions inside Afghanistan. The Cabinet plans to bring this issue up to the Korean Congress this week. Due to the hostage situation two years ago, because Korea had already dispatched troops in Afghanistan, Korea knows very well the consequences that come with the decision to send more people to Afghanistan. The Afghan war that started out as revenge against terror never got settled; neither were troops able to bring peace and safety to the people of Afghanistan. In addition to that, foreign troops supported the corrupt and incorrigible Karzai government. The war destroyed the lifestyles of the local people and subjected them to harsh persecution. Korean society learned the hard way — by subjecting Korean efforts and people to the atrocities of war — that going into Afghanistan was not wise.
However, regardless of the consequences, the Korean government dispatched troops to Afghanistan over the span of two years. The controversy around sending troops from Korea was that the government never consulted the citizens for their approval. Even though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never asked for the dispatch of Korean troops, the Koreans “presented” the U.S. with a gift, stating that the U.S. had requested it. The Korean government dispatched the troops for the American government, doing as the Americans wanted, rather than what the citizens in Afghanistan desired. We cannot tell for whom the dispatch is for anymore.
Nevertheless, the government lengthened the one-year deployment to two years and six months, saying that they needed more time to help rebuild, given local circumstances, and to train for the mission against the Taliban. It is easy to see that this decision could be a big failure because the government has decided to completely ignore public opinion. The current disastrous situation in Afghanistan is not improving and is caused by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 the country that started the war. Even the U.S. has stated their intentions to recall all troops by July 2012. The dispatch of Korean troops is not only rash, it is also a disruption of the common peace.
If Congress approves this decision, next July, 320 troops, 100 citizens and 40 policemen will be sent to a war zone and will be subjected to constant worry and anxiety. If we commit this mistake, then Koreans will be subjected to the horrors and atrocities of war. It is not too late. The government must stop this dispatch. However, if the government tries to go through with this, the country must correct the government’s mistake.
정부는 어제 시민들을 납득시킬 만한 합당한 이유를 내놓지 못한 채 중요한 결정을 내렸다. 국무회의에서 아프가니스탄 지방재건팀 보호를 위해 350명 이내의 병력을 파견하는 내용의 ‘국군부대의 아프가니스탄 파견 동의안’을 의결한 것이다. 정부는 이 동의안을 이번주 국회에 제출할 예정이라고 한다. 한국인은 2년 전 인질 사태의 쓰라린 경험을 통해 왜 파병이 문제인지 잘 인식하고 있다. 보복을 위해 시작된 아프간 전쟁은 테러를 해결하지도 못했고, 아프간에 평화와 안정을 가져다 주지도 못한 채 부패하고 무능한 카르자이 정권을 뒷받침하는가 하면, 아프간 인의 삶을 파괴하고 그들에게 심대한 고통을 안겨주었다. 한국 사회는 한국인의 희생을 통해서야 이 전쟁의 잘못을 깨닫고, 어떤 방식이든 전쟁 참여는 바람직하지 않다는 교훈을 얻었다.
그러나 정부는 2년 만에 다시 파병 결정을 했다. 한국 군대를 외국에 다시 보내는 논쟁적 정책을 사회적 합의나 시민들이 동의할 아무런 명분과 논리도 없이 밀어붙인 것이다. 당초 파병 방침은 미국의 공식 요청이 없었는데도, 미국이 내심 바란다는 이유 하나로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일종의 선물로 바쳐진 것이었다. 파병 결정 과정에 주권자인 시민들의 뜻을 받드는 절차는 생략되고 미국의 뜻만 중시한 결과였다. 누구를 위한 파병인지 알 수 없게 되었다.
그런데도 이번에는 1년 단위였던 파병 기한을 2년6개월로 늘리기까지 했다. 지방 재건 임무의 특성상 시간이 필요하고, 파병 연장 시점에 탈레반의 테러가 우려되므로 이를 피하려면 연장해야 한다는 것이 정부 설명이다. 국내 여론도, 유동적인 현지 상황의 변화도 무시한 이런 전례 없는 장기 주둔 계획은 무책임하고 안이한 발상이 아닐 수 없다. 전쟁 당사자인 미국도 2012년 7월 철군계획을 밝히며 퇴로를 준비하고 있는 마당이다. 무모할 뿐 아니라, 정부 편의만 고려한 설득력 없는 방안이다.
동의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한국인들은 내년 7월 군인 320명, 민간인 100명, 경찰 40명을 위험지역에 보내 놓고 노심초사하며 지내야 한다. 자칫하면 그렇게 해야 할 아무런 까닭도 없이 한국인이 불안과 걱정의 나날을 보내야 할 처지가 되는 것이다. 지금이라도 늦지 않았다. 정부는 파병안을 철회해야 한다. 그래도 강행하겠다면, 국회가 시민의 뜻을 받들어 부결시킴으로써 정부의 잘못을 바로잡아야 한다.
This post appeared on the front page as a direct link to the original article with the above link
.
[T]he recent back-and-forth between Washington and Beijing over rare earth minerals looks technical on the surface, but it points to a deeper shift in global leverage.
U.S. companies, importers and retailers will bear the initial costs which most economists expect to filter through the supply chain as a cost-push inf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