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gress as a “Punching Bag”

Published in Chosun Ilbo
(South Korea) on 16 November 2011
by Lim Min-hyuk (link to originallink to original)
Translated from by Seung W. Yang. Edited by Hoishan Chan .
“We can’t wait.”

This slogan was tagged on like a doorplate on documents distributed by the White House after U.S. President Barack Obama signed an executive order for a federal government budget reduction plan.

The slogan has become a catchphrase promoted by Obama’s White House, and appears to be somewhat of a sequel to “Yes, we can,” from the 2008 presidential election. It seems like Obama uttered “We can’t wait” at least four to five times this month while announcing his executive order regarding student loans, home foreclosures and job security for veterans. Even Obama’s recent speeches given during his current nationwide bus tour mostly started with “We can’t wait any longer. . . .”

The target of President Obama’s “can’t wait” rhetoric is Congress. Obama’s argument is that since the country cannot wait for Congress, which is devoted to in-house political fights, to pass necessary legislation, Obama himself will take immediate action through executive orders that can bypass Congress. Obama said, “Steps like these won’t take the place of the bold action we need from Congress to boost our economy and create jobs, but they will make a difference. And until Congress does act, I will continue to do everything in my power to act on behalf of the American people.”

Obama is targeting Congress with a plan to create a polarizing image of “working president” versus “roadblock Congress” for the presidential election next year. Election strategists believe that Obama, whose chances for re-election are threatened by his low approval ratings, has chosen to blame Congress for the economic slump. Some even believe that Obama is bench-marketing a precedent of Harry Truman, who also faced difficulties in reelection in 1948 due to an economic downturn but came out victorious after coining the phrase “do-nothing Congress.”

As expected, there are critics who say, “Half of the U.S. Congress is from the Democratic Party, and President Obama happens to belong to that party.” Despite this, Obama is still able to position himself against Congress because Congress is currently a “punching bag,” and is probably the only organization in the country that is less popular than Obama. In a recent poll conducted by the Wall Street Journal, the approval rating for Congress set a record low of 18 percent, compared to Obama’s job approval rating of 44 percent.

Regardless of such statistics, it is not difficult to feel that the Americans’ mistrust toward the U.S. Congress has reached its zenith. Opinion sections of major newspapers are plastered with ridicules and criticisms of Congress. Even Daniel Inouye (Democrat from Hawaii), who has been in Congress for 52 years, said “I have never experienced such a Congress that bickers constantly and does not know how to compromise.”*

Article I in the U.S. Constitution bestows power to Congress. The U.S. government is centered around Congress. The tainted prestige of such a Congress shows that as a whole, the U.S. is declining.

*Editor’s Note: This quote, while accurately translated, could not be verified.


"We can't wait."(우리는 더 이상 기다릴 수 없다)

지난주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연방정부 예산 절감 실천방안을 제시하라는 행정명령에 서명한 뒤 백악관에서 나눠준 자료 맨 위에는 이 같은 문구가 문패처럼 붙어 있었다.

이 문구는 요즘 오바마의 백악관이 밀고 있는 일종의 '유행어'다. 지난 2008년 대선 때의 "Yes, we can"(우리는 할 수 있다)의 제2탄인 셈이다. 이달 들어 학생 융자금 경감, 차압 위기 주택대출금 구제, 참전용사 취업 보장 등 오바마의 행정명령 공표 과정에서 "We can't wait"란 문구를 본 게 적어도 4~5차례는 넘는 것 같다. 최근 미국 전역을 버스로 투어하고 있는 오바마의 지방연설도 대부분 "우리는 더 이상 기다릴 수 없습니다…"로 시작한다.

오바마 대통령이 기다릴 수 없다고 열변을 토하는 대상은 바로 의회다. 정쟁에만 몰두해 있는 미국 의회가 국정운영에 필요한 법안들을 처리해 줄 때까지 무한정 기다릴 수 없으니, 의회를 우회할 수 있는 대통령의 행정명령권으로 경제살리기를 위한 시급한 조치를 취하겠다는 것이다. 오바마는 "의회가 경제를 생각하지 않고 정치적 이해득실만 따진다면 대통령의 권한을 최대한 활용해 나갈 수밖에 없다"고 했다.

오바마가 이처럼 의회를 타깃으로 삼고 있는 데는 내년 대선을 '일하는 대통령' 대(對) '발목만 잡는 의회'의 대립구도로 만들어 치르겠다는 계산이 깔려 있다. 침체된 경기로 인해 지지율이 재선(再選) 마지노선을 하회하고 있는 오바마가 그 돌파구로 경제 실패의 책임을 의회에 떠넘기는 프레임을 택했다는 게 선거전략가들의 분석이다. 1948년 해리 트루먼 대통령이 역시 경제위기로 재선이 위태로웠던 상황에서 '아무것도 안 하는 의회'(do-nothing-congress)라는 조어(造語)를 만들어 결국 승리를 거둔 전례를 벤치마킹하고 있다는 얘기도 나온다.

물론 이런 주장에 대해서는 "미국 의회의 절반은 오바마 대통령이 속한 민주당이라는 사실을 모르는 거냐"는 비난도 나온다. 하지만 그럼에도 오바마가 의회와의 대립 구도를 밀어붙이는 것은 현재 미국 의회가 '동네북' 신세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의회는 현재 미국에서 오바마보다 인기가 없는 거의 유일한 집단이다. 최근 월스트리트저널(WSJ)의 조사에서 오바마의 업무수행 지지율이 44%로 나온 데 비해 의회 지지율은 18%로 역대 최저치를 경신했다.

이 같은 수치를 빌리지 않더라도 요즘 미국 의회에 대한 국민의 불신이 극(極)에 달해 있음을 피부로 느끼는 것은 어렵지 않다. 유력 신문들의 오피니언난은 의회에 대한 조롱과 비난으로 연일 도배되고 있다. 52년 동안 의원직을 유지하고 있는 대니얼 이노우에(민주·하와이) 상원의원이 "지금과 같이 타협은 모르고 싸움만 하는 의회는 나도 처음"이라고 할 정도다.

미국은 헌법 1조에서 의회를 규정하고 있을 만큼 의회 중심의 나라이다. 이런 미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의회 권위의 추락은 곧 미국 자체가 기울어가고 있음을 보여주는 또 다른 단면이다.
This post appeared on the front page as a direct link to the original article with the above link .

Hot this week

Topics

Poland: Meloni in the White House. Has Trump Forgotten Poland?*

Germany: US Companies in Tariff Crisis: Planning Impossible, Price Increases Necessary

Japan: US Administration Losing Credibility 3 Months into Policy of Threats

Mauritius: Could Trump Be Leading the World into Recession?

India: World in Flux: India Must See Bigger Trade Picture

Palestine: US vs. Ansarallah: Will Trump Launch a Ground War in Yemen for Israel?

Ukraine: Trump Faces Uneasy Choices on Russia’s War as His ‘Compromise Strategy’ Is Failing

Related Articles

Hong Kong: China, Japan, South Korea Pave Way for Summit Talks; Liu Teng-Chung: Responding to Trump

South Korea: Where Is the War in Ukraine Heading?

Zimbabwe: China Is the True Power in Putin and Kim’s Budding Friendship

South Korea: Explore Nuclear Options

France: Vladimir Putin and Kim Jong Un’s Worrying Summit of Pariah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