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thers and Politics

<--

[특파원칼럼]아버지와 정치

손제민 워싱턴 특파원

OPD: Feb 17, 2015

내년 미국 대선을 앞두고 힐러리 클린턴이라는 유력후보가 있기에 누구도 섣불리 도전장을 내밀려고 하지 않는 민주당과 달리 공화당은 스무명 가까이 되는 후보들이 벌써부터 백가쟁명을 벌이고 있다. 그중에서도 유력한 두 후보를 꼽자면 젭 부시 전 플로리다 주지사(62)와 랜드 폴 켄터키주 상원의원(52)이다. 두 사람은 모두 2세 정치인이다.

젭 부시는 대권 도전을 시사한 뒤 지난달 자동차 판매업협회에서 한 첫 대중연설에서 “내 아버지”라는 말을 여러 번 언급했다. 그는 아버지 부시가 자신의 정치인 롤모델이라며 특히 그의 외교정책을 본받고 싶다고 했다. 형 부시에 대해서는 퇴임 후 그림을 그리는 것만 얘기했다. 젭 부시는 자신의 정치자금 모금법인인 정치활동위원회(PAC) 웹사이트에 올린 첫 게시글에서도 아버지만 거명하고 형에 대해서는 일절 얘기하지 않았다. 20여년이 흐른 지금, 탈냉전 후 현실주의 외교를 했다는 평가를 받는 아버지와 달리 형은 일방주의 외교로 국제사회에서 미국의 이미지를 실추시킨, 인기 없는 대통령이다. 물론 아들에게는 형제보다 아버지가 더 큰 존재이기 때문이기도 할 것이다.

병상에 누운 아흔살 아버지 부시가 대권에 도전하는 젭 부시에게 순자산으로 여겨지는 반면 랜드 폴에게 아버지는 좀 복잡한 존재다. 그의 아버지 론 폴 전 하원의원(79)은 공화당 대선후보 당내 경선에 세 번이나 나가서 전국적 지명도가 있지만, 그의 지향은 극단적으로 치부되며 보수 진영의 주류가 되지 못했다. 론 폴은 한국 보수정치인들에게서는 전혀 찾아볼 수 없는 성향인 자유주의자이다.

론 폴은 작은 정부를 지향하며 국가의 복지지출 확대에 반대한다. 그의 작은 정부 철학은 군사비 지출에도 일관되게 적용된다는 점에서 공화당 주류와 갈라진다. 그는 탈냉전 이후 서방이 러시아를 능멸했기 때문에 지금처럼 블라디미르 푸틴이 득세한다고 본다. 론 폴은 ‘아들 부시’의 이라크 침공에 반대표를 던진 몇 되지 않는 공화당 의원이었다. 또 자기 지역구였던 텍사스주가 미국 연방에서 분리독립해야 한다고까지 주장한다. 미국의 독립혁명도 결국 대영제국으로부터의 분리독립이었다는 것이다. 의사 출신인 론 폴은 국가가 개인에게 백신 접종을 의무화해서는 안된다고도 주장한다. 이쯤 되면 아버지의 철학은 대통령이 되고자 하는 아들에게는 부담이 된다. 하지만 랜드 폴은 여전히 정치철학의 상당 부분을 아버지에게 빚지고 있는 것 같고, 아버지는 지금도 자기 소신대로 왕성한 대외활동을 한다.

‘이럴 때 아버지가 계시면 뭐라고 하셨을까.’ 이제는 고인이 된지 꽤 되었지만 필자 개인적으로도 아버지 하면, 어려운 고민이 있을 때마다 한번쯤 상의해보고 싶은 분이다. 세월이 흘러 나 자신이 아버지가 된 뒤에는 이따금 더 그리울 때가 있다. 우리는 저마다 좋으나 싫으나 아버지의 그늘 속에서 자랐고, 홀로 선 뒤에도 무의식 중에 그 영향을 받으며 산다. 영화 <국제시장>이 화제가 된 것도 그런 측면에서 이해된다.

특히나 경제가 어렵다는 요즘, 자식들은 장성한 뒤에도 부모에 대한 의존도가 높은 ‘캥거루족’이 많다. 그런 경우 아버지는 우리 삶에 더 큰 존재인지도 모른다. 아버지가 경제적 유산뿐만 아니라 정치적 유산까지 있는 경우라면 더 그럴 것이다. 아버지(심지어 할아버지까지)의 후광에 기대거나 아직도 아버지를 롤모델로 둔 지도자들은 미국까지 가지 않아도 우리 주변에 많다. 이들의 공통점은 대개 우파 정치인들이고 어떠한 비전보다는 ‘좋았던 옛날’에 대한 대중의 향수를 자극하면서 정치적 생명을 이어왔다는 점이다. “○○국가 건설이 내 아버지의 못다 이룬 꿈”이라고 했던 박근혜 대통령이 대망을 품은 미국의 두 보수정치인들에게 해주고 싶은 얘기가 있지 않을까. “내가 해봐서 아는데…”

About this pub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