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gotiations for shared defense costs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hich have been pending for more than 1 1/2 years, are finally being settled. Though neither country’s government has made any details of the agreement public, it seems they have reached a middle ground to the satisfaction of both sides,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parties reached a settlement within the first 46 days of Joe Biden’s administration. Last March, representatives at the negotiations betwee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were nearly reached an agreement on a five-year contract with an annual cost increase of 13% compared with the previous year. However, due to former businessman-turned-president Donald Trump’s unreasonable demands to increase the previous year’s amount fivefold and his unwillingness to compromise, the issue has not been settled until now. Beginning with his presidential campaign, Biden said he would promote "alliance restoration" above all else when he took office, criticizing Trump’s money-first approach.
Although it’s a little too late, the fact that both sides were able to reach an agreement in negotiations gives us a sense of hope that the alliance will continue on a steady path going forward. On the other hand, people are also predicting the United States will later demand that South Korea participate in pressuring China in return for lowering the contribution demanded by the Trump administration. Connecting defense cost negotiations to other issues is quite undesirable. We must heed the lesson taught by defense cost negotiations during the Trump administration and not repeat the process which led to wavering negotiations. The type of thinking that reduces an alliance to financial gains and financial losses is one that may seriously damage the value of the alliance.
The U.S.-South Korea alliance, which originated as a military alliance during the Korean War, was expanded into an economic alliance with the signing of agreements such as the U.S.-South Korea Free Trade Agreement. Nevertheless, for the United States government to press South Korea over a monetary amount would be to mistake the means for the end. Of course, it is right for diplomats to carefully consider their own national interests during negotiations, as they are administering taxpayer money. However, they shouldn’t manage this process to the extent that it degrades the fundamental value of the alliance. It is not normal to engage in a tug-of-war over how much the share of expenses should be and miss negotiation deadlines by 1 1/2 years with an ally that one has agreed to support in case of an emergency. If U.S.-South Korea relations devolve into this kind of halfhearted alliance, it will be one that no other countries respect or fear.
1년 반 넘게 표류하던 한미 방위비 분담금 협상이 어제 타결됐다. 양국 정부가 아직 구체적인 합의 내용은 공개하지 않고 있으나 조 바이든 미국 행정부 출범 46일 만에 타결됐다는 점에서 양측이 서로 크게 불만이 없는 선에서 접점을 찾은 것으로 보인다. 1년 전인 지난해 3월 한미 양측 협상 대표들은 5년 다년 계약으로 전년 대비 13% 인상하는 합의에 근접했었다. 하지만 사업가 출신인 도널드 트럼프 당시 대통령이 ‘전년 대비 5배 인상’이라는 터무니없는 증액을 요구하며 재가를 거부하는 바람에 지금껏 타결이 되지 않았다. 바이든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부터 동맹 관계를 돈으로 접근하는 트럼프 전 대통령을 비판하며 집권 시 ‘동맹 복원’을 우선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한미 양측이 뒤늦게나마 협상을 타결 지은 것은 안도감과 함께 향후 동맹 관계도 안정적인 궤도로 들어설 것이라는 기대감을 갖게 한다. 한편에서는 이번 협상에서 미국이 트럼프 행정부에 비해 낮은 분담금을 요구한 대신 대(對)중국 압박에 동참을 요구하는 청구서를 나중에 한국에 내밀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그러나 방위비 협상을 다른 사안과 연계시키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지 않다. 트럼프 행정부 시절의 방위비 협상 표류 과정은 되풀이돼서는 안 될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동맹을 누가 더 이익을 챙기느냐는 식의 금전적 득실로만 따지는 발상은 동맹의 가치를 심각하게 훼손하는 행위다.
한국전쟁에서 군사동맹으로 시작된 한미동맹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체결 등으로 경제공동체로까지 확대됐다. 그런데도 미국 정부가 방위비 분담금 액수를 놓고 한국을 압박했다면 본말이 전도된 것이다. 물론 국민의 혈세를 집행하는 것인 만큼 외교 당국은 꼼꼼하게 국익을 위해 협상에 임하는 게 맞다. 그래도 동맹의 기본적 가치를 훼손할 정도여선 안 된다. 유사시 서로의 안전을 지키는 동맹국이 분담금 액수 때문에 줄다리기를 하다가 협상 기한을 1년 반이나 넘겼다면 비정상적이다. 이런 맹탕 동맹으로 한미 관계가 전환된다면 두려워할 나라는 하나도 없을 것이다.
This post appeared on the front page as a direct link to the original article with the above link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