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US FTA: Different on the Inside

Published in Hankyung
(South Korea) on 23 March 2010
by Kim Hong-Yeol (link to originallink to original)
Translated from by Shanna Tan. Edited by Jessica Boesl.
Everyone will agree that South Korea’s negotiations with the U.S. are going more smoothly than negotiations with the E.U. We are comparing the KORUS (S. Korea-U.S.) Fair Trade Agreement (FTA) that was signed three years ago with the E.U.-S. Korea FTA, which will see its final signing next month. The difference is especially clear in the clause concerning automobiles.

Both the E.U. and South Korea plan to remove tariffs on imported automobiles from the other country according to their engine capacity within three to five years.

Under the KORUS FTA, South Korea’s 8 percent tariff on U.S. imported cars will be removed immediately. The U.S. will eliminate its 2.5 percent tariff on small cars immediately and on large cars (3000cc and greater) within three years.

The U.S. managed to obtain an "important feature" in its agreement with South Korea that the E.U. has been unable to obtain. That is, the U.S. can "snap back" tariffs on Korean imported cars if Korea does not act in accordance with the agreement. Korea also agreed to remove discriminative aspects of the tariff system on U.S.-imported vehicles. There is no similar agreement with the E.U.

With respect to trucks, the U.S. also adopted a protective stance in order to expand its own domestic market. In the KORUS agreement, Korea will immediately remove the 10 percent tariff on U.S.-imported trucks. On the other hand, the U.S will phase out its 25 percent tariff on Korean-imported trucks gradually over a period of 10 years. Under the E.U.-Korea FTA, Korea will remove truck tariffs immediately, while the E.U. will eliminate its 22 percent tariffs on Korean-imported trucks over a period of three to five years, depending on the truck category.

The U.S. also obtained an exemption that allows it to sell up to 6,500 vehicles built according to U.S. safety standards each year. The E.U.-Korea FTA does not contain such a clause. The KORUS FTA includes provisions on investor dispute settlements, but there are no such provisions in the E.U.-Korea FTA, leaving negotiations to individual member countries. Labor and environment provisions are subject to the same binding provisions in investor dispute settlements, but this is not the case for the E.U.-Korea FTA.

The U.S. points out that it has done much better than the E.U. when it comes to negotiations with Korea. The U.S. trade representative in charge of the KORUS FTA negotiations has been publicizing this view since October 19 last year, as they are worried about the E.U.’s domination in the Korean market. Tami Overby, vice president for Asia at the U.S. Chamber of Commerce, commented that the KORUS FTA is exemplary.

On the Office of the U.S. Trade Representative website, there is not a single word on the imbalance and injustice of the automobile trade terms that President Barack Obama and his ruling Democratic Party negotiated in the KORUS FTA. In contrast, the president and his party delayed the ratification of the FTA due to the disparity of 700,000 cars imported from Korea, versus the 7,000 cars that the U.S. exports to Korea each year. The analysis seems forced, as the substance of the KORUS FTA is overstated.

The upcoming June 30 will mark the third anniversary since the signing of the KORUS FTA. The 151 members of the National Assembly have recently sent a letter to the Upper and Lower House to press for the ratification of the KORUS FTA. This is a signal by the Korea National Assembly that there will not be any issues during the ratification. However, the only defect is that the main opposition parliament members who brought about the KORUS FTA will not be attending the ratification. We hope that Obama and the Democratic Party will not know their two-faced side.


겉과 속 다른 한·미 FTA


누가 봐도 미국이 유럽연합(EU)보다 한국과 협상을 잘했다고 평가할 만하다. 3년 전에 체결된 미국과 한국 간 자유무역협정(FTA)과 다음 달께 최종 서명될 EU와 한국의 FTA를 비교해서 하는 말이다. 자동차 부문의 협상 결과물이 특히 그렇다.

EU는 한국과 3~5년에 걸쳐 수입 자동차의 엔진 용량별로 상호 관세를 없애기로 했다. 한 · 미 FTA에서는 한국이 미국차에 부과하는 8%의 수입관세를 즉각 철폐한다는 조항을 담았다. 미국은 한국산 소형차에 붙는 관세 2.5%를 즉시,3000㏄ 이상 대형차에 매기는 관세 2.5%는 3년 기간을 두고 면제키로 했다.

미국은 한국과의 협상에서 EU가 얻어내지 못한 '주요 조항'까지 챙겼다. 한국 측이 협정의 혜택에 반하는 조치를 취하면 한국산 자동차에 다시 관세를 부과할 수 있는 정교한 이행의무 장치(snap back)가 그렇다. 한국은 미국산 자동차에 대한 차별적인 세금체계도 없애기로 약속했다. EU와는 이런 내용이 구체적이지 않다.

트럭 부문에서도 미국은 자국 시장을 개방하면서도 효과적으로 방어할수 있도록 짰다. 한 · 미 FTA는 한국이 10%의 트럭 관세를 곧바로 철회토록 한 반면 미국은 한국산 수입 트럭에 대해 10년에 걸쳐 25%의 관세를 단계적으로 풀기로 했다. EU · 한 FTA는 한국이 트럭 관세를 즉각 없애도록 했지만 EU는 22% 관세를 트럭 유형에 따라 3~5년에 걸쳐 없앤다고 돼 있다.

또 미국은 자동차업체가 자국의 안전표준에 맞게 생산한 차량을 연간 최대 6500대까지 한국에서 팔 수 있는 면제조항을 확보했다. EU · 한 FTA에는 관련 조항이 포함돼 있지 않다. 투자자 분쟁 해결 조항의 경우 한 · 미 FTA에는 있지만 EU · 한 FTA는 EU 회원국이 능력껏 처리토록 했다. 노동과 환경분야의 조항도 미국은 구속력 있는 분쟁해결 장치에 따르게 했지만 EU는 그렇지 않다.

EU 보다 한국을 상대로 협상을 잘했다는 지적은 다름아닌 미국 측 분석이다. 한 · 미 FTA 협상 실무를 담당한 미 무역대표부(USTR)가 EU의 한국시장 선점을 우려했는지 지난해 10월19일부터 홍보하고 있는 내용이다. 태미 오버비 미국상공회의소 아시아총괄 부회장은 한 · 미 FTA가 모든 FTA의 황금기준이라고 평가했다.

사정이 이렇다보니 USTR의 홈페이지 자료는 어느 구석에서도 버락 오바마 대통령과 집권여당인 민주당이 내세우는 한 · 미 자동차 무역의 불공정과 불균형을 지적하지 않고 있다. 이에 반해 오바마와 민주당은 한국이 한 해 70만대의 차를 미국에 수출하나 미국산 차는 고작 7000대 수입한다면서 한 · 미 FTA 비준을 미루고 있다. 한 · 미 FTA의 실속을 과시하는 USTR 분석에 갖다대면 억지에 가깝다.

오는 6월30일이면 한 · 미 FTA가 체결된 지 3년째를 맞는다. 한국 국회는 여 · 야 의원 151명이 서명한 한 · 미 FTA 비준 촉구 서한을 최근 미 상 · 하원의원 전원에게 전달했다. 한국 국회는 비준 처리에 문제가 없다는 신호를 보낸 것이다. 다만 2007년 한 · 미 FTA 협상을 주도한 우리 주요 부처의 장관 출신 야당 의원들은 끝내 서명에 참여하지 않았다는 게 옥의 티다. 이들의 표리부동이 오바마와 민주당에 알려지지 않길 바랄 뿐이다.
This post appeared on the front page as a direct link to the original article with the above link .

Hot this week

Nepal: The Battle against American Establishment

Malta: The Arrogance of Power

China: 3 Insights from ‘Trade War Truce’ between US and China

Egypt: The B-2 Gamble: How Israel Is Rewriting Middle East Power Politics

Topics

India: Peace Nobel for Trump: It’s Too Long a Stretch

Ecuador: Monsters in Florida

Austria: It’s High Time Europe Lost Patience with Elon Musk

Singapore: The US May Win Some Trade Battles in Southeast Asia but Lose the War

Ethiopia: ‘Trump Guitars’ Made in China: Strumming a Tariff Tune

Egypt: The B-2 Gamble: How Israel Is Rewriting Middle East Power Politics

China: 3 Insights from ‘Trade War Truce’ between US and China

United Kingdom: We’re Becoming Inured to Trump’s Outbursts – But When He Goes Quiet, We Need To Be Worried

Related Articles

India: Trump’s Tariffs Have Hit South Korea and Japan: India Has Been Wise in Charting a Cautious Path

Hong Kong: China, Japan, South Korea Pave Way for Summit Talks; Liu Teng-Chung: Responding to Trump

South Korea: Where Is the War in Ukraine Heading?

Zimbabwe: China Is the True Power in Putin and Kim’s Budding Friendship

South Korea: Explore Nuclear Op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