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aiting Korean Burning Man Festival

Published in Asia Economy Daily
(South Korea) on 18 August 2011
by Baek Jae-Hyeon (link to originallink to original)
Translated from by Oliviana Zakaria. Edited by Jennifer Pietropaoli.

“Software intuition is not learned from books.”

How does one cultivate software intuition? The number of people concerned about this seems to be rapidly growing lately. August 15’s news of Google’s takeover of Motorola is yet another reminder to our society of the significance of software knowledge. It represents the shift in the landscape where search technology has become stronger than cell phone manufacturing.

Former Samsung Chairman Lee Kun-hee was quoted yesterday as having urged the company to step up efforts to acquire needed software talent and, if necessary, “proactively pursue [mergers and acquisitions] of software companies.”* This signifies pressing needs for software technology.

This emphasis on software intuition is actually nothing new. The book “No software in South Korea,” published eight years ago, made this painful realization. For over 10 years there have been voices demanding that Korea develop an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ion circuit (ASIC), in addition to memory chips to uphold its status as a semiconductor power. But, it is evident that our software intuition level still leaves something to be desired.

Software intuition is not easily cultivated. Apple’s Steve Jobs contemplates frequently; Microsoft’s Bill Gates takes a “Think Week” each year for a reason. Software intuition is not acquired from such things as books; instead, it requires an enlightened mind. It requires freedom from logic and conventions.

The Burning Man Festival takes place in the United States around this time of year. The festival runs for one week beginning the Monday prior to Labor Day (the first Monday of September), which is August 29 this year. The festival has been attracting journalists’ interest as it is said that the mind and culture of Silicon Valley is cultivated from this festival. The 1999 festival put a spotlight on the participation of Google founders Larry Page and Sergey Brin and their employees. Even Google’s corporate slogan, “Don’t be evil,” has its roots in the spirit of the Burning Man festival. It has been suggested that Burning Man participants have an edge in Google’s job interviews. Google Doodles, design changes to the Google logo to commemorate special days, socio-cultural issues and famous people’s lives, were also borne out of this festival.

The Burning Man festival started in 1986, when Larry Harvey performed a burning ritual of a wooden effigy at a San Francisco beach to celebrate the summer solstice. After holding the burning ritual at the same place for the next four years, it was moved to the Nevada desert in 1990 upon request of concerned authorities. Even now, Harvey still assumes a management role and is the spokesperson for the festival.

“Trying to explain Burning Man to someone who never participated is like trying to explain color to a blind person.” One needs to be in the festival itself to understand its unique culture and atmosphere.

For one day, in the middle of a desert where electricity and cell phone reception are scarce, tens of thousands of people suddenly appear to create a brand new city. They put together various events and activities; the next week, everything is gone. Highly creative artists, passionate musicians and engineers gather from all over the world to unleash their own creativity. Spectators become creators at the same time. Commercial activities are completely nonexistent in the festival; except for ice and coffee, there is nothing to buy. Instead of money, survival requires reliance on each other, and learning to rely on teamwork is of utmost importance.

Last year more than 50,000 people participated. The pouring rain that turned the ground to mud at the beginning of the festival proved to be no deterrent. Tickets are completely sold out for this year’s festival too. The festival has no rules. On the last day, participants stand in a circle with a gigantic wooden doll burning in the center. This event imparts a great sense of solidarity. Some volunteers stay behind after the event and, within a few weeks, restore the site to its original state. People who meet here from various places, nevertheless, naturally form a community of their own and continue exchanging information and inspiration. Hence, even though nobody directly teaches anybody anything, a tremendous deal of software intuition is cultivated through the Burning Man Festival.

I’m looking forward to a Korean version of the Burning Man summer festival, even if it takes place on a riverbank or a local beach.

*Editor’s Note: This quote, accurately translated, could not be verified.


한국판 '버닝맨 축제'를 기다리며

"소프트 파워는 책으로 배우는 게 아니다"

‘어떻게 소프트 파워를 키울 것인가?’
요즘 이 화두를 붙들고 고민하는 사람이 부쩍 늘었을 것 같다. 지난 15일 늦은 밤 들려온 구글의 모토로라 인수 소식은 우리 사회에 소프트 파워의 중요성을 다시금 일깨우고 있다. ‘검색 기술’이 ‘휴대폰 제조’보다 더 힘이 세진 현실의 변화를 상징적으로 보여줬다.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도 어제 ‘소프트웨어 업체를 적극 M&A 할 것’을 지시했다는 소식이다. 관련 인재를 육성하고 스카우트하는 데서 한 발 더 나아가 능력 있는 기업을 아예 사들이라는 주문이다. 그만큼 소프트웨어 기술이 중요하고 다급하다는 사실을 말해준다.

소프트 파워에 대한 강조는 사실 어제 오늘의 일이 아니다. ‘대한민국에는 소프트웨어가 없다’라는 뼈아픈 자성의 책이 나온 것이 벌써 8년 전이다. 반도체 강국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메모리 반도체외에 주문형 반도체(ASIC)를 키워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았던 것은 10년도 넘었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아직은 우리의 소프트 파워 수준이 결코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사실이다.

소프트 파워는 가르친다고 쉽게 길러지는 것이 아니다. 애플의 스티브 잡스가 명상을 자주 하고, 마이크로소프트의 빌 게이츠가 해마다 ‘생각 주간’을 갖는 것은 나름 이유가 있다. 소프트 파워는 책으로만 해결되지 않는 ‘그 무엇’에 대한 깨달음이 요구된다. 논리와 상식의 틀에 얽매이지 말아야 한다.

해마다 이맘때면 미국에서는 ‘버닝맨 축제’가 열린다. 노동절(9월 첫째 월요일)을 기준으로 일주일전 월요일부터 일주일간 계속된다. 올해는 오는 29일 시작 될 예정이다. 기자가 오랫동안 이 축제에 관심을 가져온 이유는 실리콘밸리의 정신적 문화적 에너지가 이로부터 공급된다고 봤기 때문이다. 지난 1999년 행사에는 구글 창업자 래리 페이지와 세르게이 브린이 직원들과 함께 참여해 주목을 받았다. ‘사악해지지 말라’라는 구글의 기업철학도 버닝 맨 축제의 분위기에 뿌리를 두고 있다. 버닝맨 축제에 참가한 사람은 구글 입사면접 때 인센티브가 주어진다고 알려져 있다. 구글이 특정 기념일이나 사회문화적 이슈, 유명인의 삶을 기리기 위해 로고를 특이하게 디자인하는 구글 두들(Doodle)도 이 축제에서 시작됐다.

버닝 맨 축제는 1986년 래리 하비라는 사람이 샌프란시스코 해변에서 하지를 기념해 나무로 만든 인간을 불태우는 퍼포먼스를 벌이며 시작됐다. 4년간 매년 이곳에서 열리다 화재를 우려한 당국의 요구로 1990년부터는 행사 장소를 네바다주의 사막으로 옮겼다. 하비는 지금도 축제를 관리하고 대변인 역할을 맡고 있다.

‘축제에 참가해보지 않은 사람에게 버닝맨 축제를 설명하는 것은 장님에게 색깔을 설명하는 것과 같다’고 할 만큼 축제는 독특한 문화와 분위기 속에서 진행된다. 전기는 물론 휴대폰 조차 잘 안터지는 사막 한가운데 어느 날 갑자기 수만명이 몰려들어 도시 하나가 건설된다. 이들은 다양한 이벤트를 벌이다가 1주일 후면 훌쩍 사라져버린다. 전세계에서 창의력 넘치는 예술가, 열정적인 음악가와 엔지니어들이 몰려든다. 이들은 그야말로 자신만의 자유로운 창작 활동을 벌인다. 관람자이면서 동시에 창작자가 된다. 행사에는 상업성이 철저히 배제돼 얼음과 커피 외에는 돈을 주고 살 것도 거의 없다. 생존에는 돈이 아니라 서로 의지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팀워크를 몸으로 배우게 된다.

지난해에는 5만명이 넘는 사람들이 참여했다. 행사 첫날 비가 쏟아져 진흙투성이가 됐지만 장애가 되지 못했다. 올해도 벌써 티켓이 매진됐다. 행사에는 어떠한 규칙도 없다. 마지막 날 불타는 거대한 나무 인형을 가운데 두고 둘러서서 연대감을 느끼는 정도다. 일부 자원봉사자들이 남아서 몇 주 혹은 한 달에 걸쳐 행사 이전의 모습과 똑같은 상태로 복원 하고 돌아간다. 그러나 이곳에서 만난 세계 각지의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커뮤니티를 이뤄 정보와 영감을 지속적으로 주고 받는다. 아무도 얘기 하지 않고, 누구도 가르치지 않았지만 엄청난 소프트 파워가 버닝맨 축제를 통해 만들어지는 것이다.

여름 한강 고수부지나 지방의 바닷가 어디쯤에서 한국 판 버닝맨 축제가 열리기를 기대한다.
This post appeared on the front page as a direct link to the original article with the above link .

Hot this week

Mexico: The Trump Problem

Mexico: EU: Concern for the Press

Venezuela: Vietnam: An Outlet for China

Switzerland: Donald Trump: 100 Days Already, but How Many Years?

     

Israel: Trump’s National Security Adviser Forgot To Leave Personal Agenda at Home and Fell

Topics

Mexico: EU: Concern for the Press

Austria: Musk, the Man of Scorched Earth

Germany: Cynicism, Incompetence and Megalomania

Switzerland: Donald Trump: 100 Days Already, but How Many Years?

     

Austria: Donald Trump Revives the Liberals in Canada

Germany: Absolute Arbitrariness

Israel: Trump’s National Security Adviser Forgot To Leave Personal Agenda at Home and Fell

Mexico: The Trump Problem

Related Articles

Hong Kong: China, Japan, South Korea Pave Way for Summit Talks; Liu Teng-Chung: Responding to Trump

South Korea: Where Is the War in Ukraine Heading?

Zimbabwe: China Is the True Power in Putin and Kim’s Budding Friendship

South Korea: Explore Nuclear Options

France: Vladimir Putin and Kim Jong Un’s Worrying Summit of Pariahs